티스토리

sixcom.tistory.com 쵸·코·야
검색하기

블로그 홈

sixcom.tistory.com 쵸·코·야

sixcom.tistory.com/m

쵸코야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정릉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임술기-다산 정약용과 그의 제자 황상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과 그의 제자 黃裳(황상)과의 관계에서 있었던 일화 황상은 다산에게 글을 배운지 60년이 되는 임술년(1862년)에 75세의 노인이 되어 지난날을 회상하며 壬戌記(임술기)를썼는데, 그는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록했다. "내가 스승님께 글을 배운지 이레 되던 날 스승님은 문사(文史 : 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라는 글을 내주시며 말씀하시길 '石山(黃裳의 兒名)아! 문사를 공부하라'고 하셨다. 나는 머뭇거리고 부끄러워하며 '저에게 세 가지 병통이 있읍니다. 첫째는 둔하고, 둘째는 꽉 막혔으며, 셋째는 미욱합니다'라고 말씀을 올렸다. 그러자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공부하는 자들이 갖고 있는 병통을 너는 하나도 갖고 있지 않구나. 첫째는 기억력이 뛰어난 병통으로 공부를 소홀히..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11. 4.
  • 유가 정리 분서갱유 하 은 주 춘추전국 진 한 위 진 남북조 수 당 송 원 명 청 ────┼────┼───┼──┼──────┼─┼─┼───┼──┼─────┼───┼ 제가백가 훈고학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 삼국시대 남북극 고려 조선전기 조선후기 (강화학파 정제두) (명종때 양명학 도입) 18C 유가 (학문을 신봉하는 사람들 또는 학파) = 유학 (학문적 측면) = 유교 (종교적 측면) 경 학 - 유가 경전의 글자 구절 문장에 음을 달고 각 문장을 해석하며 연구하는 학문 훈고학 - 유학으로 경전의 자귀가 갖은 의미를 해석에 중점을 두는 학문 성리학 - 경학의 입장에서 주자가 자귀와 의미를 해석한것을 바탕으로 우주의 본질을 밝히려는 학문 (신유학 주자학 정주학)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4.
  • 유교 2,500년 여행 문명대기획 인사이트 아시아 - 유교, 2500년의 여행 제 1편 “인(仁), 사랑의 여정” (2007.5.26 방송) "효제는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 - 논어 유교 사상의 핵심은 "인(仁)"이다. 가족 안에서 시작되어 사회, 자연, 우주로까지 이어지는 사랑의 동심원, 그 철학의 체계는 무엇인가? ☐ "유교문명"의 탄생 기원전 7세기와 6세기 사이. 지구에는 인류의 미래를 인도할 거대한 문명들이 깨어난다. 중동에선 유대교가, 인도에서는 불교가,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사상이, 동양에서는 도교와 유교문명이 태동하니 그 시조가 바로 공자였다. 이 시기 태어난 공자는 어떤 인물이었을까? 공자가 태어난 산동성 니구산의 한 동굴에서부터 공자가 묻힌 공림의 공자묘에 이르기까지 인간 공자가 걸어간 삶의 행로를 따라가 본.. 공감수 0 댓글수 4 2021. 11. 3.
  • 한자 어순 한자의 어순(語順)은 영어와 똑같다. ​ ​ 똑같이 영어를 배우면, 중국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보다 영어를 더 잘한다고한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나 가장 설득력을 가지는 것은 한문과 영어는 어순(말의 순서)가 같다는 것이다. ​ 영어 문장을 해석해보면 말의 순서가 우리와 다르다. 예를 들어 "I go to school"을 우리말로 해석하면 "나는 간다, 학교에"가 된다. 즉 주어("나는")가 맨 먼저 오는 것은 같으나, 목적어나 보어("학교에")가 영어에서는 뒤에 나온다. ​ 한문의 어순은 영어와 똑같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I go to school"은 "오등교(吾:나 오 登:오를 등 校:학교 교)"가 된다. 여기에서 "등(登)"자는 "간다"라는 뜻도 있다. 따라서 간단한 영어를 해석할 줄 아는 사람은..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6. 6.
  • 한문의 품사 漢文의 品詞에는 ①名詞 ②代名詞 ③動詞 ④形容詞 ⑤副詞 ⑥介詞 ⑦接續詞 ⑧語助詞 ⑨感歎詞 등 九品詞가 있는데, 이 가운데서 ①②③④⑤는 새기는 글자로 「實辭실사」라 부르고, ⑥⑦⑧⑨는 실사를 도와 활용하는 글자로 「虛辭허사」라 부른다. 허사의 쓰임은 아래와 같다. 1.於(于,乎) 1)처소 : ∼에, ∼에서. 例) 日出於東山 (해가 동쪽산에서 뜬다) 2)대상 : ∼에게. 例) 己所不欲,勿施於人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는 남에게 억지로 시키지 말아 ) 3)비교 : ∼보다. 例) 父母之恩高於山(부모의 은혜는 산보다 높다) 4)피동 : ∼에게 ∼을 당하다. 例) 治於人 ( 남에게 다스림을 당한다 ) 2.之 1) 대명사 : 명사를 대신 하는말. 해석은 그것. 例) 遂求之於天하니 (하늘에서 그것을 구하니) 2)..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6.
  • 동양사상의 흐름 https://youtu.be/Cn23h5ZqnAI https://youtu.be/nJPErl6WUW0 https://youtu.be/Hr_99bl3u8I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3.
  • 기독교의 4대덕목과 7대 죄악 기독교의 4대덕목과 7대 죄악 4대덕목 하면 조선 시대 양반사회에서 지키어야 할 덕목으로 향약이라는 공동체에서 사용하던 조선 시대 양반사회의 자치규약을 일컫는 향약의 4대 덕목을 말한다. 1. ‘덕업상권(德業相勸)’, 좋은 일은 서로 권한다. 2, ‘과실상규(過失相規)’, 나쁜 일은 서로 금한다. 3. ‘예속상교(禮俗相交)’, 좋은 풍속으로 서로 사귄다. 4. ‘환난상휼(患難相恤)’, 어려운 일을 당하면 서로 돕는다. 사자성어의 한자 독음으로는 당시 식자층이나 알아볼 수 있었으려나? 한글 풀이한 말로는 쉽게 알 수 있지만 양반사회 자신들도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헬조선”을 만들고 스스로 몰락하였다. 이는 그 고통이 자신들만 겪는 게 아니고 서민인 민초들이 더 많은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당시 농촌의 ..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2.
  • 톨스토이 성장을 말하다 공감수 0 댓글수 1 2021. 6. 2.
  • 춘향전 판소리 이도령 춘향모 상봉 [PEOPLE 프로의 세계] 판소리 명창 남궁소소 기사입력 2005-09-21 09:57 실력·소양 겸비, 국악계 ‘프리마돈나’ 판소리 하나로 온갖 상을 휩쓸었다는 국악인을 만나러 가는 길에 드는 생각은 영화 , 단 하나였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우리 소리’라는 판소리에 대해 무지한 것은 전혀 부끄러운 일이 아닌 듯한 착각이 뿌리 깊이 박혀 있었고 판소리를 소재로 한 영화를 봤다는 것은 그나마 나은 편이 아닌가 하는 자기최면을 걸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얕게 알고 있는, 아니 영화를 통해 본 판소리에 대한 지식이라고 해 봐야 ‘한의 정서’야말로 서양음악과 우리 소리를 확연히 구분지어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한이 맺힌 소리의 완성을 위해 아버지가 딸의 눈을 멀게 하지 않았던가). 폭포수 소리.. 공감수 0 댓글수 0 2013. 4. 2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