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sixcom.tistory.com 쵸·코·야
검색하기

블로그 홈

sixcom.tistory.com 쵸·코·야

sixcom.tistory.com/m

쵸코야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정릉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인터넷 창 복구 공감수 0 댓글수 1 2022. 6. 16.
  • 56분 시대순 정리 https://youtu.be/2wZ3Wtc7auE 공감수 0 댓글수 3 2022. 6. 15.
  • 뇌졸중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10계명 〈스포츠경향〉“어느 날 갑자기?” 우연은 없다… 뇌졸중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10계명 경향신문 원문 |입력 2011-10-24 16:08 오는 29일은 ‘세계 뇌졸중의 날’. 뇌졸중은 단일 질환으로 가장 큰 사망 원인이다. 일상생활속에서 지켜야 할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한림대학교성심병원 뇌신경센터 유경호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계명1/담배는 미련 없이 끊어라=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에 비해 뇌졸중 발생률이 2~3배나 높다. 담배에 함유된 니코틴과 일산화탄소는 산소의 양을 감소시키며 혈관을 수축시킨다. 또 혈관의 벽을 손상시켜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이 달라붙기 쉽게 만든다. 1년 금연하면 뇌졸중 발생위험도를 50% 감소시킬 수 있으며, 5년 이내에 그 위험도가 비흡연자와 거의 비슷.. 공감수 1 댓글수 4 2022. 6. 15.
  • 정릉 860*484 정릉 서울 성북구 정릉 2동에 있는 정릉(貞陵)은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의 능이다. 사적 제208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 능은 조선을 건국한 이후 최초로 조성한 능으로 처음 정했던 곳은 한성부 서부인 황화방(皇華坊), 곧 지금의 정동이었다. 그러나 산역을 시작할 때 물이 솟아나와 지금의 정릉동에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두 차례의 ‘왕자의 난’을 거치고 이방원이 임금에 오르면서 신덕왕후가 잠들어 있는 정릉은 수난의 길로 접어든다. 태종 5년인 1405년에 도성 안에 있는 정릉을 도성 밖으로 옮겨야 한다는 의정부의 상소가 올라왔고, 능역의 이전과 축소에 관한 논쟁이 이어졌다. 결국 정릉이 성북구 정릉동으로 옮겨진 것은 1409년(태종 9)이었다. 오로지 태조가 제8왕자 방석을 세자로 책봉한 데 .. 공감수 0 댓글수 1 2022. 6. 14.
  • 해방전후사 공감수 0 댓글수 1 2022. 5. 13.
  • Windows Media Player 활성화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2.
  • iis 실행 및 중지 관리자 권한 명령줄 창을 엽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net stop WAS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Y를 입력한 다음 Enter 키를 눌러 W3SVC도 중지합니다. 웹 서버를 다시 시작하려면 net start W3SVC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 WAS와 W3SVC를 모두 시작합니다. Microsoft Windows [Version 10.0.19043.1586]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Windows\system32>net stop was 다음 서비스는 Windows Process Activation Service 서비스에 영향을 받습니다. Windows Process Activation Service 서비스를 멈추면 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사운드카드 Line in 활성화 방법 사운드카드 Line in 활성화 방법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오디오 장치 관리 > 녹음 > 라인입력에서 > 마우스 우측버턴 > 속성 > 수신대기 > 이 장치로 듣기에 체킹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원11 에지 브라우저 에서 광고창 홈페이지 뜰때 특히, 나이키코리아 홈페이지 광고 없애는 방법 해결 방법은 원도우11 엣지 브라우저 초기화로 해결 엣지가 열린 상태에서 우측 상단 가로로 된 점 3개 클릭 제일 하단쪽 설정 클릭 우측 설정 앞에 한일자 세개로 된 부분 클릭 하단 부분 원래대로 설정 클릭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원" 클릭 초기화를 클릭하면 됩니다. 이상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유신체제 몰락 72 남북공동선언 발표 72 10월 유산공포 / 남북조절위원회 설치 /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 선출(임기6년) 74 민청학련 사건 ,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 76 3.1민주국국선언(김대중 문익환 함석헌) 79 YH 무역사건 79 김영삼 국회의원 제명 79 부.마민주항쟁 79 10.26 사태 79 12.12 사태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5.
  • 조계 조차(租借) : 다른 나라에서 일시적으로 영토의 일부를 빌리는 일. 조차지(租借地) : 다른 나라에서 일시적으로 빌린 영토의 일부. 조차국(租借國) : 다른 나라에서 일시적으로 영토의 일부를 빌리는 나라. 조대지(租貸地) : 다른 나라에게 일시적으로 빌려준 자국 영토의 일부. 조대국(租貸國) : 다른 나라에게 일시적으로 영토의 일부를 빌려주는 나라. 조계 - 주로 개항장(開港場)에 외국인이 자유로이 통상 거주하며 치외법권을 누릴 수 있도록 설정한 구역. 한국에 조계가 처음 설정된 것은 1877년 1월 30일 부산항조계조약(釜山港租界條約)에 의해서이며, 이어 청나라를 위시하여 미국 ·영국 ·독일 ·러시아가 각기 수호통상조약 체결과 동시에 인천 ·진남포 ·군산 ·마산 ·성진 등지에 설정하였다. 여기에는 전관..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5.
  • 임술기-다산 정약용과 그의 제자 황상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과 그의 제자 黃裳(황상)과의 관계에서 있었던 일화 황상은 다산에게 글을 배운지 60년이 되는 임술년(1862년)에 75세의 노인이 되어 지난날을 회상하며 壬戌記(임술기)를썼는데, 그는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록했다. "내가 스승님께 글을 배운지 이레 되던 날 스승님은 문사(文史 : 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라는 글을 내주시며 말씀하시길 '石山(黃裳의 兒名)아! 문사를 공부하라'고 하셨다. 나는 머뭇거리고 부끄러워하며 '저에게 세 가지 병통이 있읍니다. 첫째는 둔하고, 둘째는 꽉 막혔으며, 셋째는 미욱합니다'라고 말씀을 올렸다. 그러자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공부하는 자들이 갖고 있는 병통을 너는 하나도 갖고 있지 않구나. 첫째는 기억력이 뛰어난 병통으로 공부를 소홀히..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11. 4.
  • 유가 정리 분서갱유 하 은 주 춘추전국 진 한 위 진 남북조 수 당 송 원 명 청 ────┼────┼───┼──┼──────┼─┼─┼───┼──┼─────┼───┼ 제가백가 훈고학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 삼국시대 남북극 고려 조선전기 조선후기 (강화학파 정제두) (명종때 양명학 도입) 18C 유가 (학문을 신봉하는 사람들 또는 학파) = 유학 (학문적 측면) = 유교 (종교적 측면) 경 학 - 유가 경전의 글자 구절 문장에 음을 달고 각 문장을 해석하며 연구하는 학문 훈고학 - 유학으로 경전의 자귀가 갖은 의미를 해석에 중점을 두는 학문 성리학 - 경학의 입장에서 주자가 자귀와 의미를 해석한것을 바탕으로 우주의 본질을 밝히려는 학문 (신유학 주자학 정주학)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4.
  • 유교 2,500년 여행 문명대기획 인사이트 아시아 - 유교, 2500년의 여행 제 1편 “인(仁), 사랑의 여정” (2007.5.26 방송) "효제는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 - 논어 유교 사상의 핵심은 "인(仁)"이다. 가족 안에서 시작되어 사회, 자연, 우주로까지 이어지는 사랑의 동심원, 그 철학의 체계는 무엇인가? ☐ "유교문명"의 탄생 기원전 7세기와 6세기 사이. 지구에는 인류의 미래를 인도할 거대한 문명들이 깨어난다. 중동에선 유대교가, 인도에서는 불교가,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사상이, 동양에서는 도교와 유교문명이 태동하니 그 시조가 바로 공자였다. 이 시기 태어난 공자는 어떤 인물이었을까? 공자가 태어난 산동성 니구산의 한 동굴에서부터 공자가 묻힌 공림의 공자묘에 이르기까지 인간 공자가 걸어간 삶의 행로를 따라가 본.. 공감수 0 댓글수 4 2021. 11. 3.
  • 순종 인산일 - 6.10만세운동 - 신간회 창립 계기 순종 인산일 - 6.10만세운동 - 신간회 창립 계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3.
  • 고려 성종 업적 정확하게 외우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3.
  •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업적 장수왕이 한성(위례)침입으로 백제 개로왕 전사 / 장수왕은 아버지 광개토 대왕릉비를 세웠다 ⓵ 고구려 소수림왕 ⓶ 신라 지증왕 이사부 ⓷ 백제 근초고왕 ⓸ 고구려 장수왕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3.
  • 년도 싸움 러일전쟁 1904 보안회 창립 1904 년도 싸움 러일전쟁 1904 보안회 창립 1904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2.
  • 진흥왕 순수비 건립 시기 북한산순수비 건립시기 - 진흥왕이 성왕과 함게 한강유역 차지한 후 건립 대야성전투 - 7세기 선덕여왕 , 김춘추 때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1. 2.
  • 삼국 및 가야 유물 분석 ⓵ ⓶ ⓷ ⓸ ⓹ ⓵ 발해 돌사자상 ⓶ 고구려 연가7연명금동여래입상 ⓷ 백제 무령왕릉 출도 금제 관식 ⓸ 대가야 금동관 ⓹ 신라 천마도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30.
  • 진성여왕 한용운 신채호 안중근 ⓵ ⓶ ⓷ ⓸ ⓹ (가) 헌덕왕 822 김헌장의 난 (나) 진성여왕 원종과애노의 난 최치원의 시무10조, 삼대목 ⓵ 진성여왕 ⓶ 신문왕 ⓷ 지증왕 ⓸ 612년 영양왕-진흥왕 만해 한용운 승녀 독립운동가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중 한명 / 월간지 유심 발간 / 불교개혁운동 ⓵ ⓶ ⓷ ⓸ 한용운 신채호 조선상고사 제1편 총론에서 신채호는 그의 역사이론을 전개한다. 그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서의 역사’를 파악하고 있다. 즉, 그는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사물의 모순·상극(相克) 관계에서 파악하고 있는데, 이는 헤겔류의 소박한 변증법적 논리가 도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그는 이러한 모순·투쟁 관계가 역사로서 채택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상속성과 공간적인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⓵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8.
  • 문제풀이 방법 3 문제 지문에 3개 이상의 사진이 있을 경우 모르는 사진 가지고 고민하지 맙시다 모르는 2개 무시하고, 하나 만 정확히 사건 및 사실을 알면 이것이 답이다 ⓵ ⓶ ⓷ ⓸ ⓹ ⓵ ⓶ ⓷ ⓸ ⓹ ⓵ 강화도 ⓶ 제주도 ⓷ 강진 ⓸ 독도 ⓹ 거문도 ⓵ ⓶ 김대중 정부 ⓷ ⓸ 박정희 정부 ⓹ 노무현 정부 ⓵ 박정희 정부 ⓶ 박정희 정부 ⓷ 장면내각 ⓸ 5.18 민주항쟁 ⓹ 6월민주항쟁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7.
  • 문제 풀이 방법 2 ⓵ ⓶ ⓷ ⓸ ⓹ ⓵ ⓶ ⓷ ⓸ ⓹ 시기 찾기 또는 옳지 않은 것은? 모르고 알기 어려운 지문 어렵게 읽지 마세요 선지 중 4개는 같은 시기이고, 다른 1개 선지가 시기가 다른 것이 답 입니다. ⓵ 조선후기 ⓶ 세종 광해(기유약조) 부산포 ⓷ 조선후기 ⓸ 조선후기 ⓹ 조선후기 ⓵ 병자호란 ⓶ 임진왜란 ⓷ 임진왜란 ⓸ 임진왜란 ⓹ 임진왜란 ⓵ 조선후기 ⓶ 발해 ⓷ 조선후기 ⓸ 조선후기 ⓹ 조선후기 ⓵ 1930년대 ⓶ 1930년대 ⓷ 1930년대 ⓸ 1930년대 ⓹ 1910년대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7.
  • 문제 풀이 방법 1 다음 상황(아래 문제 지문)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모르고 어려운 지문 어렵게 읽지 마세요 선지문제중 제일 마지막 시기 사건이 정답 입니다. ⓵ ⓶ ⓷ ⓸ ⓹ ⓵ 10세기 ⓶ 원성왕 ⓷ 신문왕 ⓸ 신라중대 ⓹ 신라말기 ⓵ ⓶ ⓷ ⓸ ⓹ ⓵ ⓶ ⓷ ⓸ ⓹ ⓵ 1902년 ⓶ 1896-97년 ⓷ 1882년 임오군란 ⓸ 1906년 ⓹ 1903년 ⓵⓶⓷⓸⓹ ⓵⓶⓷⓸⓹ ⓵⓶⓷⓸⓹ 다음 상황(아래 문제 지문)이후의 사실로 옳지 않는 것 은? 모르고 어려운 지문 어렵게 읽지 마세요 선지문제중 제일 먼저 시기 사건이 정답 입니다. ⓵ 진주대첩 ⓶ 1593. 1 ⓷ 한산도대첩 ⓸ 동래성 전투 ⓹ 1593. 2 행주대첩 ⓵ 고려 태조 ⓶ 고려 태조 ⓷ 조선 ⓸ 고려 공민왕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7.
  • 한능검 풀이 비법 (동영상) 공감수 0 댓글수 2 2021. 10. 27.
  • flatform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23.
  • 이중석 한국사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14.
  • 조선 전기 정치사 사화 https://youtu.be/5O2qI322Q2Y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10.
  • 한자 어순 한자의 어순(語順)은 영어와 똑같다. ​ ​ 똑같이 영어를 배우면, 중국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보다 영어를 더 잘한다고한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나 가장 설득력을 가지는 것은 한문과 영어는 어순(말의 순서)가 같다는 것이다. ​ 영어 문장을 해석해보면 말의 순서가 우리와 다르다. 예를 들어 "I go to school"을 우리말로 해석하면 "나는 간다, 학교에"가 된다. 즉 주어("나는")가 맨 먼저 오는 것은 같으나, 목적어나 보어("학교에")가 영어에서는 뒤에 나온다. ​ 한문의 어순은 영어와 똑같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I go to school"은 "오등교(吾:나 오 登:오를 등 校:학교 교)"가 된다. 여기에서 "등(登)"자는 "간다"라는 뜻도 있다. 따라서 간단한 영어를 해석할 줄 아는 사람은..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6. 6.
  • 한문의 품사 漢文의 品詞에는 ①名詞 ②代名詞 ③動詞 ④形容詞 ⑤副詞 ⑥介詞 ⑦接續詞 ⑧語助詞 ⑨感歎詞 등 九品詞가 있는데, 이 가운데서 ①②③④⑤는 새기는 글자로 「實辭실사」라 부르고, ⑥⑦⑧⑨는 실사를 도와 활용하는 글자로 「虛辭허사」라 부른다. 허사의 쓰임은 아래와 같다. 1.於(于,乎) 1)처소 : ∼에, ∼에서. 例) 日出於東山 (해가 동쪽산에서 뜬다) 2)대상 : ∼에게. 例) 己所不欲,勿施於人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는 남에게 억지로 시키지 말아 ) 3)비교 : ∼보다. 例) 父母之恩高於山(부모의 은혜는 산보다 높다) 4)피동 : ∼에게 ∼을 당하다. 例) 治於人 ( 남에게 다스림을 당한다 ) 2.之 1) 대명사 : 명사를 대신 하는말. 해석은 그것. 例) 遂求之於天하니 (하늘에서 그것을 구하니) 2)..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