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두기/인문학9 한문의 품사 漢文의 品詞에는 ①名詞 ②代名詞 ③動詞 ④形容詞 ⑤副詞 ⑥介詞 ⑦接續詞 ⑧語助詞 ⑨感歎詞 등 九品詞가 있는데, 이 가운데서 ①②③④⑤는 새기는 글자로 「實辭실사」라 부르고, ⑥⑦⑧⑨는 실사를 도와 활용하는 글자로 「虛辭허사」라 부른다. 허사의 쓰임은 아래와 같다. 1.於(于,乎) 1)처소 : ∼에, ∼에서. 例) 日出於東山 (해가 동쪽산에서 뜬다) 2)대상 : ∼에게. 例) 己所不欲,勿施於人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는 남에게 억지로 시키지 말아 ) 3)비교 : ∼보다. 例) 父母之恩高於山(부모의 은혜는 산보다 높다) 4)피동 : ∼에게 ∼을 당하다. 例) 治於人 ( 남에게 다스림을 당한다 ) 2.之 1) 대명사 : 명사를 대신 하는말. 해석은 그것. 例) 遂求之於天하니 (하늘에서 그것을 구하니) 2).. 2021. 6. 6. 동양사상의 흐름 https://youtu.be/Cn23h5ZqnAI https://youtu.be/nJPErl6WUW0 https://youtu.be/Hr_99bl3u8I 2021. 6. 3. 기독교의 4대덕목과 7대 죄악 기독교의 4대덕목과 7대 죄악 4대덕목 하면 조선 시대 양반사회에서 지키어야 할 덕목으로 향약이라는 공동체에서 사용하던 조선 시대 양반사회의 자치규약을 일컫는 향약의 4대 덕목을 말한다. 1. ‘덕업상권(德業相勸)’, 좋은 일은 서로 권한다. 2, ‘과실상규(過失相規)’, 나쁜 일은 서로 금한다. 3. ‘예속상교(禮俗相交)’, 좋은 풍속으로 서로 사귄다. 4. ‘환난상휼(患難相恤)’, 어려운 일을 당하면 서로 돕는다. 사자성어의 한자 독음으로는 당시 식자층이나 알아볼 수 있었으려나? 한글 풀이한 말로는 쉽게 알 수 있지만 양반사회 자신들도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헬조선”을 만들고 스스로 몰락하였다. 이는 그 고통이 자신들만 겪는 게 아니고 서민인 민초들이 더 많은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당시 농촌의 .. 2021. 6. 2. 톨스토이 성장을 말하다 2021. 6.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