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XCOM 전체 글67 낙찰 후 경매진행 절차도 및 대지권 미등기 우선은 매각기일은 경매하는 날입니다. 매각기일에 낙찰을 받는다면, 7 일 정도는 매각허가 기간입니다. 매각확정기일은 7일 정도이며 항고기간입니다. 이 두기간은 통상적으로 그냥 지나가는 기간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 후 입찰 보증금 10%를 제외한 90%의 잔금을 납부하는 기간이 약 3~4주 정도 잡힙니다. 그 후 잔금을 납부하면 소유권이 이전이 되고, 그 후 본격적인 명도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기간은 낙찰일을 기준으로 2개월 보름 정도에서 3개월 가량을 예상하셔야 합니다. 입찰 시, 주의사항 및 확인하셔야 하는 사항은 미납금 확인, 현장조사를 통한 권리분석, 직접 등기부등본 확인과, 전입세대열람과 , 법원문건접수 내역, 명도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 등을 감안하시고 입찰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명.. 2013. 9. 16. diana 일정관리프로그램 2013. 9. 2. 전세권설정과 확정일자 전세권설정이란 무엇이고 확정일자 전세권설정이란 무엇이고 확정일자라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드리지요... 전세권설정등기는 민법의 전세권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 그 설정순위에 따라 당연히 물권적 효력인 순위보호가 민법에 의해서 인정되고 있는 것이며, 확정일자제도는 전세권설정과 같이 등기부에 기재되지 않아도 임대차 계약하고 주민등록전입신고하여 거주하고 있으면 민법의 규정에 우선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해서 사회적 약자인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세권설정등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선순위를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구체적인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확정일자는 등기소나 주민쎈터(=동사무소)에서 주민등록전입신고하고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 날인을 받으면 되는 것으로서 임대인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으며 간.. 2013. 8. 30. 부동산 경매 순서도 width=860*900 2013. 8. 2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