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XCOM 전체 글67 한자 어순 한자의 어순(語順)은 영어와 똑같다. 똑같이 영어를 배우면, 중국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보다 영어를 더 잘한다고한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나 가장 설득력을 가지는 것은 한문과 영어는 어순(말의 순서)가 같다는 것이다. 영어 문장을 해석해보면 말의 순서가 우리와 다르다. 예를 들어 "I go to school"을 우리말로 해석하면 "나는 간다, 학교에"가 된다. 즉 주어("나는")가 맨 먼저 오는 것은 같으나, 목적어나 보어("학교에")가 영어에서는 뒤에 나온다. 한문의 어순은 영어와 똑같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I go to school"은 "오등교(吾:나 오 登:오를 등 校:학교 교)"가 된다. 여기에서 "등(登)"자는 "간다"라는 뜻도 있다. 따라서 간단한 영어를 해석할 줄 아는 사람은.. 2021. 6. 6. 한문의 품사 漢文의 品詞에는 ①名詞 ②代名詞 ③動詞 ④形容詞 ⑤副詞 ⑥介詞 ⑦接續詞 ⑧語助詞 ⑨感歎詞 등 九品詞가 있는데, 이 가운데서 ①②③④⑤는 새기는 글자로 「實辭실사」라 부르고, ⑥⑦⑧⑨는 실사를 도와 활용하는 글자로 「虛辭허사」라 부른다. 허사의 쓰임은 아래와 같다. 1.於(于,乎) 1)처소 : ∼에, ∼에서. 例) 日出於東山 (해가 동쪽산에서 뜬다) 2)대상 : ∼에게. 例) 己所不欲,勿施於人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는 남에게 억지로 시키지 말아 ) 3)비교 : ∼보다. 例) 父母之恩高於山(부모의 은혜는 산보다 높다) 4)피동 : ∼에게 ∼을 당하다. 例) 治於人 ( 남에게 다스림을 당한다 ) 2.之 1) 대명사 : 명사를 대신 하는말. 해석은 그것. 例) 遂求之於天하니 (하늘에서 그것을 구하니) 2).. 2021. 6. 6. 조선 초기 외교사 https://youtu.be/BNxPADrXl7U 2021. 6. 4. 동양사상의 흐름 https://youtu.be/Cn23h5ZqnAI https://youtu.be/nJPErl6WUW0 https://youtu.be/Hr_99bl3u8I 2021. 6. 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